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데이터 분석4

[인사-25001] 오픈 카카오톡방 대화 내용 분석_R언어(feat.오픈카톡방) Ⅰ. 당신은 회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회사의 인사 부서는 조직 내 임직원들의 실제 목소리를 듣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공식적인 설문조사에서부터 주니어보드, 노사협의회 등 여러 채널을 통해 직원들의 속내를 파악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의도와는 다르게 대부분의 직원들은 자신의 목소리가 가져올 파급 효과에 대해 두려워 한다. 필자는 직장 내 괴롭힘 신고를 받아 피해자를 돕기 위하여 조심스레 접촉을 하였을 때에도 피해자들은 도대체 자신을 돕기 위해 누가 신고했는지 물어보며 복잡한 마음을 토로하기도 한다. 마치 애증의 관계처럼 자신을 도와주는 것에 대한 감사함과 자신의 속마음을 제3자에게 들어내야 하는 리스크에 노출시킨 것에 대한 복잡한 마음이 고스란히 나타난다. 어.. 2025. 3. 9.
[인사-23007] 직무급 연구 : 직무평가와 군집분석의 활용 ②_R언어 Ⅰ. 분석에 필요한 사항 준비 % ## 실장~팀장급 직무 데이터 준비 filter(str_detect(Job_code, 'D|E')) %>% group_by(Job_code) %>% summarise(Mean_F1 = mean(Factor1), Mean_F2 = mean(Factor2), Mean_F3 = mean(Factor3), Mean_F4 = mean(Factor4), Mean_F5 = mean(Factor5)) name = management[,1] DF = data.frame(management[,-1], row.names = name$Job_code) ## 행 인덱스 지정 이제 우리는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음식 재료)를 우리의 분석환경이라는 도마에 올려야 한다. 앞서 수집한 직무평가 데이터를.. 2023. 2. 22.
[인사-23004] 조직몰입 요인 탐색 : 블라인드와 KoBERT AI 활용 Ⅰ. 조직의 '진짜' 목소리 :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우리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어느 날 대나무 숲에서 들려오는 누군가의 외침은 그 나라 임금님의 심장을 뒤흔들고 심기를 불편하게 만든다. 도대체 어떤 녀석이 높디 높은 임금님의 귀가 당나귀 귀라고 외치는 것일까? 아니 굳이 말할 거면 대놓고 면전에 대고 말하지 뒤에서 말하는 것은 무슨 심보일까? 임금은 자신들의 백성을 바라보며 씁쓸하다는 듯이 자신의 수염을 어루만질 뿐이다. 한편,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 외친 이는 해당 사실을 외치기까지 상당히 고민하고 또 고민하다 답답한 마음에 대나무 숲 한 우물가로 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사실을 외친다. 아무도 듣지 않을 것이라 혹은 누가 듣더라도 내가 외쳤을 것이라고 의심하진 못할 것이.. 2023. 1. 25.
[인사-22002] HR Analytics의 중요성과 그 적용 사례 Ⅰ. HR Analytics의 중요성 증대 "A study carried out by Deloitte, found that organisations that use people analytics to support business decisions see 82% higher three-year average profits than their low-maturity counterparts(Bersin by Deloitte, 2017). Whilst other research shows that companies that invest in analytics are paid back $13.01 for every dollar spent(Nucleus Research, 2014)" 출처 : HR Analytic.. 2022.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