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용노동부28 [자료] 공무원 근무시간 면제제도 운영매뉴얼 Ⅰ. 공무원 근무시간 면제제도 개요 1. 제도 도입 경과2. 근무시간 면제제도의 내용Ⅱ. 근무시간 면제 한도 고시 및 결정절차1. 근무시간 면제 한도 고시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4-57호)2. 근무시간 면제 한도 결정 주체 및 절차 Ⅲ. 근무시간 면제 한도 적용기준 1. 면제 한도 부여 단위 판단 및 조합원 규모 산정 기준2. 근무시간 면제자가 아닌 조합원의 노동조합 활동 기준 Ⅳ. 근무시간 면제 한도 사용방법 1. 근무시간 면제 한도 사용 절차 및 방법2. 근무시간 면제 대상 업무의 범위3. 부당한 면제 한도 사용시 조치Ⅴ. 근무시간 면제자에게 적용되는 급여 등 처우 1. 보수에 관한 사항2. 복무에 관한 사항Ⅵ. 근무시간 면제 관련 정보공개 Ⅶ. 노동조합 전임자의 활동 2024. 12. 7. [지료] 교원 근무시간 면제제도 운영매뉴얼 Ⅰ. 교원 근무시간 면제제도 개요 1. 제도 도입 경과2. 근무시간 면제제도의 내용Ⅱ. 근무시간 면제 한도 고시 및 결정 절차 1. 근무시간 면제 한도 고시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4-58호)2. 근무시간 면제 한도 결정 주체 및 절차 Ⅲ. 근무시간 면제 한도 적용기준1. 근무시간 면제 한도 부여 단위 및 조합원 수 산정 기준2. 근무시간 면제자가 아닌 조합원의 노동조합 활동 기준Ⅳ. 근무시간 면제 한도 사용방법 1. 근무시간 면제 한도 사용 절차 및 방법2. 근무시간 면제 대상 업무의 범위3. 부당한 면제 한도 사용시 조치 Ⅴ. 근무시간 면제자에게 적용되는 급여 등 처우1. 보수에 관한 사항2. 복무에 관한 사항Ⅵ. 근무시간 면제 관련 정보공개 Ⅶ. 노동조합 전임자의 활동 2024. 12. 7. [자료] 고용노동부 유연근무 활용 매뉴얼 [제목] 일·생활 균형을 위한 유연근무 활용 매뉴얼Ⅰ. 유연근무의 개념 및 유형 1. 유연근무 개념 2. 유연근무의 유형 3. 유연근무 설계·도입 방법Ⅱ. 시차출퇴근 1. 시차출퇴근 개념 및 주요특징 2. 현장의 주된 활용형태 3. 세부 도입 방법 4. 구체적 규정 작성 방법 5. Q&A 6. 활용 사례Ⅲ. 선택근무 1. 선택근무 개념 및 주요특징 2. 현장의 주된 활용형태 3. 세부 도입 방법 (근로기준법 제52조) 4. Q&A 5. 활용사례Ⅳ. 재택·원격근무 1. 재택・원격근무 개념 및 주요특징 2. 현장의 주된 활용 형태 3. 세부 도입방법 4. 구체적 규정 작성방법 5. 재택근로자 건강 보호를 위한 가이드 6. Q&A 7. 활용사례Ⅴ. 근로시간 단축제도 1. 근로시간 단축제도 개요 2.. 2024. 11. 24. [노무24007] 근로시간 관련 특례규정의 적용범위 Ⅰ. 관련 법규 및 실무상 이슈 1. 업종에 따른 근로시간 특례 규정 □ 근로기준법은 한 주 동안 근무시간이 52시간을 초과할 수 없도록 정하고 있음 - 이를 초과하여 근무하였을 경우 설사 근로자가 동의하였다고 하더라도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음 □ 그러나 보건업, 운송업 및 운송 관련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업장의 경우 아래 특례 규정에 근거하여 1주 52시간을 초과해 근로할 수 있음 [근로기준법 제59조(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의 특례)] ① 「통계법」 제22조제1항에 따라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산업에 관한 표준의 중분류 또는 소분류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에 대하여 사용자가 근로자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에는 제53조제1항에 따른 주(週) 12시간을.. 2024. 2. 5.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