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사 이야기41

[인사-23019] 업무량 조사와 적정인원 산정 : 정원 관리 Ⅰ. 적정인원 산정 의도 = "노는 부서가 있나?" 필자가 군대에 있을 때 "꿀꿀똥똥의 법칙"이라는 말이 유행했는데, 이는 속된 말로 '꿀빤 놈들은 계속 꿀을 빨고, 똥빤 놈들은 계속 똥을 빤다'라는 의미이다. 이처럼 어느 조직에서나 정말 힘들게 일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에 일이 아예 없거나 요리조리 잘 피하는 사람들도 있다. 함께 일하는 동료 입장에서 이렇게 노는 직원들이 그리 달가워 보이진 않을 것이다. 몇몇 직원들은 노는 사람들을 대신해 열심히 일하는 직원들로 빈 자리를 채워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회사는 이러한 기대와는 전혀 다른 관점으로 이 문제를 바라본다. 만약 5명 중 2명이 놀고 3명이 죽어라 일을 해서 유지·운영되는 부서라고 한다면, 회사는 해당 부서의 업무는 3명이.. 2023. 10. 2.
[인사-23018] 블라인드 리뷰 크롤링과 감성분석 Ⅰ. 감성분석이란?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은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감정의 극성(긍정적, 부정적, 중립적)을 판단하는 과정이다.(물론, 경우에 따라선 더 다양한 감정으로 분석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 실효성에 대해선 다소 회의적이다.) 이는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텍스트 분석, 전산 언어학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수행되는데, 주로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브랜드 관리, HR 연구, 시장 트렌드 분석 등에 활용된다. 감성분석의 방법으로는 ⓐ특정 단어와 감성 분류 점수 간의 쌍을 담은 사전(Lexicon) 기반으로 접근하는 방법과 ⓑ컴퓨터가 직접 자료를 통해 배우는 기계학습 모형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의 접근법은 상당한 양의.. 2023. 8. 4.
[인사-23017] 인사(HR) 관련 개인정보 처리와 방법 Ⅰ. 개인정보 정의와 보호 원칙 1. 개인정보 정의 □ '개인정보'란 살아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정보 ⓒ가명처리*한 정보 ※ “가명처리”란 개인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는 등의 방법으로 추가 정보가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하는 것 □ 개인정보에는 ⅰ) 고유식별정보와 ⅱ)민감정보가 있는데, 이 둘의 정보는 다른 정보와 달리 법률에서 특히 보호하고 있는 정보임. ※ 고유식별정보 :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운전면허번호, 외국인등록번호 ※ 민감정보 : 사상·신념, 노동조합·정당의 가입·탈퇴, 정치적 견해, 건강, 성생활 등에 관한 정보, 그 밖에 정.. 2023. 7. 16.
[인사-23016] 직무급 도입을 위한 직무분석 방법론 ④ : 본직무분류 Ⅰ. 가직무분류에 대한 검토 : Calibration Session [인사-23015] 직무급 도입을 위한 직무분석 방법론 ③ : 가직무분류 Ⅰ. 직무분석의 일반적인 절차 직무분석은 ①가직무분류 단계, ②본직무분류 단계, ③직무기술서 작성 단계로 이루어진다. 위 그림에서 나타난 "업무량 조사"는 관련 컨설팅 진행 시 고객의 요 laborlawseok.tistory.com 지금까지 부서장(팀장급)이 주관하는 가직무분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가직무분류가 무엇인지 궁금한 독자들 위하여 상단에 링크를 남겨두었으니 참고 바란다. 직무분석 과정에서 가직무분류와 본직무분류 단계를 나눠서 설명하는 자료들이 꽤 많지만, 왜 그렇게 나눠서 접근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알지 못하는 HR컨설턴트들이 많다. 필자 역시 가직무분류 .. 2023. 6. 25.
반응형